賜祭文 (숙종 37년, 1711년)
숭정 후 67 년 신묘 10월 병진 삭 25일 경진,
국왕은 신하 예조정랑 정이규를 보내
고(故) 정무공 최진립의 영령에게 제사를 내린다. 영령은
이름이 청백리로 알려졌고, 나라 위태롭자 그 절개 드러나니 아아! 장하도다. 나라의 준걸같은 선비로다.
초년에 붓 던지고 세상에 나타난 행적 매우 특별하도다. 두 조정 총애 예우 받으니 천추의 풍기를 만났구나.
난이 많은 때를 만나, 섬 오랑캐들 맹약을 저버렸네. 용 잠긴 못, 범 있는 굴에서 죽음 무릅쓰고 싸워 살아났도다.
찔린 상처 아물지 못했는데, 북쪽 군사들 또 이르렀구나. 임금님 옥좌를 옮겼고, 달무리가 외로운 성을 에웠도다.
주장이 적진으로 달려가며, 경을 늙었다 하니 임금의 치욕을 무엇이라 하겠는가? 어찌 나를 쓰지 않는가 하였네.
말을 채질하여 앞서 나가니, 그 뜻 빼앗지 못하였도다. 팔 척의 몸 심겨진 듯, 죽음만 있고 두 마음 없었네.
눈부신 태양과 빛을 다투고, 기개는 가을 하늘에 늠름하도다. 처음엔 의리를 떨쳤고, 마침내 인을 이루었네,
그 의와 그 인이여, 죽는 것을 집에 돌아가듯 여기는구나. 어디엔들 죽음 없으랴마는, 옳은 죽음 얻기 어렵도다.
충절이 둘도 없어, 사관들이 기록으로 남겼고. 또한 이미 마을에 정표하고, 역시 벼슬로도 포창하였네.
세월 지난 시골 터전에 충렬의 자취 두루 찾아, 옛 규례에 따라 붉은 편액으로 내려주노라.
내 지금 무릎을 치지만 구천에서 살아오기 어렵구나. 영웅의 혼 살아계신 듯하니, 이 맑은 술잔 밝게 흠향하시라.
* 이 사제문은 청액소와 사액한 사실의 기록 뒤에 실렸다. 제문에 「錫以丹額」등의 문구가 있다.
「崇禎後六十七年辛卯」의 연조는 숭정 17년 갑신(인조 22년) 즉 명나라가 망한 그 다음해부터 기산한 것이다.
이 사제문은 숙종 37년(1711년)에 새로 사액된 용산의 숭렬사우에 사제한 제문이다.
賜祭文 (肅宗 37年)
維崇禎後六十七年歲次辛卯十月丙辰朔二十五日庚辰。
國王遣臣禮曹正郎鄭以規
諭祭于卒貞武公崔震立之靈。惟靈。
名以淸聞。節因危見。嗟乎尙矣。惟國之彦。投筆初年。發跡太奇。兩朝恩禮。千載風期。
遭時多難。卉服渝盟。龍潭虎窟。入死出生。創瘢未泯。北哨又及。天移黼座。月暈孤堞。
元戎赴師。謂卿老矣。主辱謂何。寧不我以。鞭馬先出。莫奪其志。八尺如植。有死無二。
光爭白日。氣凜秋旻。始也奮義。終也成仁。其義其仁。以歸視死。何所無死。得死難耳。
忠節無兩。太史書策。亦旣旌閭。亦旣褒爵。暄凉丘宇。冞尋烈跡。式遵故實。錫以丹額。
予方拊髀。九原難作。英魂髣髴。昭此泂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