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흠흠당 기문과 해석
흠흠당 기문과 해석


흠흠당 기 
(欽欽堂 記) 

주자(朱子)께서 서경(書經) 요전(堯典)을 펼쳐 풀이하며 ()’ ()를 첫 번째 뜻으로 삼았는데 후인들이 성인의 덕은 이와 같을 뿐이다라고 찬양하였으니, 오늘날 우리 종당(宗堂)()’ 자를 중히 여기는 것에 어찌 그 근본이 없겠는가.

옛날 우리 선조 정무공(貞武公) 잠와(潛窩) 선생이 인조 헌문왕의 두터운 인정을 받았던바, 생전에 청렴한 신하를 경건하게 임용한다[廉謹叙欽]’는 칭송이 있었고, 사후에 꿋꿋한 절개를 내가 흠모한다.[勁節予欽]’라는 제문을 내리니, 후손들이 여전히 임금 사랑을 우러르고 임금 은혜에 감격하여, 항상 편액에 눈길을 두고자 한다. 이에 대대로 살던 당()흠흠당(欽欽堂)’이라 하고, 문미(門楣)에 편액하여 인조 임금을 사모하는 정성을 담았다. 그리 오래지 않은 옛날에 이르러 당호를 충의(忠義)’로 바꾸고, 옛 편액을 밀실에 갈무리해둔 지가 벌써 80여 년이다. 올해 봄에 사당을 수리하며 동쪽 협실까지 함께 중수했는데, 종군(宗君) 해일(海日)이 옛것을 좋아하고 선조를 추모하는 뜻으로 옛 편액을 새로 고친 협실에 걸면서 나에게 한마디를 구하였다.

! 우리 선조 우뚝한 충절 일월과 나란히 빛나고 천지와 함께 영원하니, 어찌 감히 말을 덧붙이겠는가. 그러나 당() 이름 지은 뜻을 기문이 없으면 실로 무엇으로 징험하겠는가. 예로부터 당()을 짓고 쓴 기문이야 수없이 많지만 모두 승경을 뽐내는 데 지나지 않았다. 우리 당()이 직접 벽에 흙을 칠한 십세(十世) 후손들에 받들어져 선왕이 신린(臣鄰)을 예우한 뜻을 흠모하고, 선조(先祖)께서 충성 다해 임금 섬겼던 도를 흠모하며 변함없이 옛 자취 따르는 것과 어찌 같겠는가.

지금 바다 건너온 무리에 의해 손과 발이 거꾸로 달린 모습을 보게 되니, 자정(自靖) 하여 스스로 멈추지 말고, 조종조(祖宗朝) 관화(關和)의 가르침을 더욱 강구 하며, 재물에 임해서는 청백(淸白)의 지조에 힘쓰고, 어려움 앞에서 구차히 모면하려는 뜻을 가지지 않는다면, 당을 이름한 실질을 저버리지 않았다고 할 것이다. 이런 뜻은 종군(宗君)만 힘쓸 것이 아니라 여러 종친 또한 함께 힘써, 각각 흠흠(欽欽) 두 자를 하나의 본체로 삼아야 한다. 그러한 후에 영주의 대장간 같은 논의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기문을 쓴다. 

갑인(甲寅, 1914) 5 하순에 십세손(十世孫) 현필(鉉弼) 삼가 쓰다. 

*현필은 잠와선생의 4남 동길(東吉)의 후손이다. 문과 급제하여 외교문서를 담당했던 승문원(承文晼부정자(副正字)를 지냈다. 구한말 혼란기를 맞아 짧은 관직 생활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경주에서 선비로 지냈다. 

 

欽欽堂記  

朱夫子釋帝典以欽之一字爲開卷第一義後人之贊揚聖德如斯而已今我宗堂之重之以欽豈無其本歟昔我先祖貞武公潛窩先生荷仁祖憲文王知遇之厚生而有廉謹叙欽之褒沒而有勁節予欽之祭後嗣子孫猶能仰戴天眷感激恩寵思所以常目在之乃名其世居之堂曰欽欽扁之于楣以寓慕羶之誠逮中古易之以忠義而舊扁則藏諸密室者已八十餘年矣是歲之春因廟宇補葺之役 並與堂之東夾而重新之宗君海日以好古追先之意揭舊扁於新夾要余以一言吾先祖危忠卓節日月並朗天壤俱獘固何敢今日架疊而若其堂顔命名之義則不有記實何從以徵之從古有堂而有記者何限而皆不過夸耀選勝之作豈如斯堂之奉承於十世塗塈之後欽先王禮遇臣隣之意欽祖先盡忠事君之道嗣以勿替循蹈舊撤之爲哉見今乘海一翻首足倒懸居是堂者勿以自靖而自沮益講祖宗朝關和之訓臨財而勵淸白之操臨難而無苟免之志則方可謂不負名堂之實斯義也不惟爲宗君勉之且與闔門諸族共之各以欽欽二字爲一副當義諦然後庶可免永州爐步之議矣遂爲之記

閼蓬攝提格姤之下澣十世孫鉉弼謹記